외부적 인간
단어 빛이 떨어지고 빈 병이 있던 바닥에거기 있다는 것을 본 것만 같은데 그저 그랬을 뿐 나는흔적처럼 남아 있는 온기를 쓸어보았고먼지처럼 작은 것들 묻어났다 알고 있었으니 아무런 일도 벌어지지 않을 것이었다잠에서 깨었을 때 사라진 당신은당신 아닌 것들만 남아 당신이 되었고 나는 아주 작고 아득한 단어를 날리고세어본 것이다 쓸 수도 발음할 수도 없는단어를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던 것 같지만 그건 사실이 아닐지도 모르지 그것은날아가버렸고 도저히 돌아올 수 없으니 유희경, 『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문학과지성사, 2018, p. 54 오랜만에 페이지마다 발췌하고 싶은 것을 참은 시집.하나만 발췌할 수 없을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시집은 참으로 오랜만이다.시인의 말도 남겨둔다. 시인의 말 나타나지도 않았고사라지지..
있지어젠 하늘이 너무 파래서그냥 울었어 (…)내일 세상이 끝난다면우린 끝을 맞으며우린 그냥 끝 맞으며
밑 이제 그만 혹은 이제 더는 이라고 말할 때 당신 가슴에도 눈이 내리고 비가 내리고 그랬을까. 수면처럼 흔들리던 날들이 가라앉지도 못하고 떠다닐 때 반쯤 죽은 몸으로 도시를 걸어보았을까. 다 거짓말 같은 세상의 골목들을 더는 사랑할 수 없었을 때 미안하다고 내리는 빗방울들을 보았을까. 내리는 모든 것들이 오직 한 방향이라서 식탁에 엎드려 울었던가. 빈자리들이 많아서 또 울었을까. 미안해서 혼자 밥을 먹고, 미안해서 공을 뻥뻥 차고, 미안해서 신발을 보며 잠들었을까. 이제 뭐를 더 내려놓으라는 거냐고 나처럼 욕을 했을까. 우리는 다시 떠오르지 않기 위해 서로를 축복해야 한다. 더는 늙지도 죽지도 않는 손들을 늦지 않았다고 물속에 넣어보는 것이다. 세상에 속하지 않은 별들로 반짝여보는 것이다. 이승희, 『..
서울 사람이 어깨만이 돼서 거리에 넘친다버스 기사님이 어깨만이 돼서 우리를 싣고 달린다연인들이 어깨만이 돼서 타박타박 걸어간다 이 거리는 어깨만으로 남아 서 있다 사람들이 어깨만이 돼서 부딪쳐 간다버스 기사님이 어깨만이 돼서 우리를 버리러 달려간다연인들이 어깨만이 돼서 넘어져 간다 이 거리는 어깨만 남아 짖는다어깨 너머 잊힌 달이 헐떡거린다 이 어깨에는 그림자가 없다 사이토 마리코, 『단 하나의 눈송이』, 봄날의 책 세계시인선II, 2018, p.28 일본 시인이 외국어인 한국어로 쓴 두 번째 시집.첫번째 시집 『입국』은 절판인데다 찾기도 힘들어 볼 수 없었다. 읽어볼 수 있다면 좋겠는데.이 시집이 한국어로 쓴 마지막 시집이라고 한다. 앞으로도 쓸 일이 없을 거라고.외국인이 한국어를 다루는 방식에서 묘한..
왜 이렇게 좋은 건지